SMA를 위한 국제 표준치료 위원회 는 임상적 치료 가이드라인을 확립한다는 목표로 2005년에 출범하였습니다.
2007년, 위원회에서는 흔한 의료적 문제, 진단 전략, 평가 및 모니터링에 대한 권장 사항, 그리고 각 치료 분야에서의 치료적 개입을 다룬 척수성 근위축의 표준치료 성명서를 출판했습니다. 척수성 근위축 치료의 발전을 반영한 업데이트된 표준 치료 문서가 최근 개발 되었습니다.
최근 가이드라인에서는 가급적 빨리 광범위한 의료 전문가 팀을 구축할 것을 권장합니다. 치료 계획은 SMA 환자를 직접 치료할 의료 전문가에 대한 의뢰를 포함해야 합니다. 맨 처음으로는 근신경 클리닉으로 의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 수준은 종합적 치료에서부터 완화적 치료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종합적 치료긴급한 문제와 그날그날 환자의 의료적 필요에 따른 치료를 모두 다루는 과정을 말합니다. 다음 내용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
완화적 치료가능한 한 최대한의 삶의 질을 뒷받침하기 위해 고통을 예방하고 경감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다음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완화적 치료의 목적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삶의 질 개선입니다. 그러나 이는 당장 죽음에 임박했다는 뜻은 아닙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어린이를 위한 완화적 치료는 가족을 포함한 다학제적 팀을 통해 가장 잘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치료 센터의 위치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운 좋게 센터 가까이에 사는 반면,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집에서 가장 가까운 의료 센터에서 정기적 관리를 받거나, 스스로 지역사회에서 전문가들과 함께 치료 팀을 꾸릴 수 있습니다.
REFERENCES
1. Cure SMA. Caring Choices. Available at: http://www.curesma.org/documents/support--care-documents/caring-choices.pdf. Accessed May 1, 2017. 2. Wang CH, Finkel RS, Bertini ES, et al; and Participant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 Standard of Care. Consensus statement for standard of care in spinal muscular atrophy. J Child Neurol. 2007;22(8):1027-1049. 3. Blinderman CD, Billings JA. Comfort care for patients dying in the hospital. N Engl J Med. 2015;373(26):2549-2561. 4.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finition of palliative care. Available at: http://www.who.int/cancer/palliative/definition/en/. Accessed April 28, 2016. 5. European Network for the Cure of ALS. NEuroMuscular Omnicentre (NEMO). Available at: http://www.encals.eu/center/neuromuscular-omnicentre-nemo/. Accessed April 28, 2016.